Зарегистрироваться
Восстановить пароль
FAQ по входу

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2

  • Файл формата pdf
  • размером 60,29 МБ
  • Добавлен пользователем
  • Описание отредактировано
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2
국립국어원, 2009. — 222쪽.
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 대한민국은 그야말로 세계화라는 격랑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력한 변 화를 요구받고 있습니다. 특히 국내외적인 외환 위기와 금융 위기를 거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 적인 표준을 선도적으로 실현시키려는 노력들이 각계각층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. 이런 때에 우리나라 가 급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에게 많은 과제와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200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, 2004년 이후로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비율은 총 결혼의 10%를 넘고 있습니다. 그만큼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이중에서도 2008년 을 기준 한국 남자와 외국 여자의 결혼 건수는 28,000여 건이나 됩니다. 국제결혼 건수(36,204건)의 약 78% 수준입니다. 이것은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비율이 대단히 높다는 것이고, 그에 따 라 이들이 한국 사회에 안착하도록 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봅 니다.
이에 국립국어원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여성결혼이민 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였고, 그에 따른 한국어 교재를 발간하고 있습니다. 이번에 발간 되는 ‘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·2’ 는 이런 노력이 결실을 맺는 결과의 일부입니다. 물론 이 교재는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3·4권으로 심화되어 개발될 예정입니다.
한국어는 그 사용 규모로 보나 국제 사회의 위상으로 보나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언어입니다. 세계 각국의 고등학교에서는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, 국내로 유학을 오는 학 생들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. 그 속에서 이제 여성결혼이민자는 외국인이 아니라 한국인으로서 대접 받아야 합니다. 그들은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니라, 우리의 아내이면서 어머니이고 동시에 며느리라는 점 을 우리가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. 아무쪼록 이 교재를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우리 사회의 따뜻함 속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의미 있는 길잡이로 널리 활용하기 바랍니다.
끝으로, 이 교재의 개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주신 개발진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
  • Чтобы скачать этот файл зарегистрируйтесь и/или войдите на сайт используя форму сверху.
  • Регистрация